잡동사니

5핀 릴레이의 작동구조 설명.. 본문

전장 DIY 기초

5핀 릴레이의 작동구조 설명..

승이75 2025. 7. 21. 11:33

 

14년 전인 2011년 경에 아래 "4핀 릴레이의 작동구조 설명"이라는 글을 남겨 놓은적이 있었다.

https://seung275.tistory.com/5

 

4핀 릴레이의 작동구조 설명..

릴레이(RELAY)는 쉽게 이야기 해서... 전자적인 스위치 입니다. 즉, 일반적인 스위치는.. 사용자가 손으로 스위치를 직접 눌러서.. 회로를 열었다 닫았다 하면서.. 전장품을 작동시키지만... 릴레이

seung275.tistory.com

 

마음같아서는 여러 종류의 릴레이에 대해서 아는 만큼 다 정리해 놓고 싶었지만 그러하지 못했는데

아직도 "4핀 릴레이의 작동구조 설명" 게시글이 블로그에서 인기 게시글로 나오고 있는것에 힘입어 심심하던 차에 5핀 릴레이에 대한 것도 이번에 정리해 본다.


 

자동차용 5핀 릴레이나 4핀 릴레이는 외관이 비슷하게 생겼다. 아래는 일반적으로 쓰이는 4핀 릴레이의 아랫면 단자 부분의 모습이다. 이름과 같이 핀 수는 4개이다. 앞선 글에서의 설명처럼 87, 30번 단자가 보이고, 85 -는 가려서 안보이는데 86의 반대쪽 단자- 86 단자가 보인다. 30번 87번 단자가 다른 단자보다 굵은것으로 봐서 30A이상의 큰 전류량을 제어할 수 있는 것으로 보인다. 

 

4핀 릴레이

 

아래는 5핀 릴레이의 모습이다. 말그대로 핀의 개수가 5개인데 기존의 30, 87, 85, 86 외에 87a가 추가된 모습이다. 

 

5핀 릴레이

 

위 5핀 릴레이의 제원이 "12V 30A"라고 되어 있는데 85, 86번 단자에 걸리는 전압이 12볼트라는 이야기이고 87, 87a, 30번의 메인 단자로 흐를수 있는 전류량이 30A까지라는 의미이다. 30A면 대부분 차량의 전장품을 제어하는데 충분한 용량이다. 전장품의 허용 용량을 W(와트)로 표기하기도 하는데. 와트(W)와 전류(A, Ampere), 전압(V, Voltage)의 관계는 아래와 같다.


전압(V) X 전류(A) = 전력(W)

 

대충 120와트로 표기된 전장품이라면 12볼트를 나눠주면 그 전장품에 써야하는 배선 굵기와 릴레이의 필요 제원을 알 수 있다. 120와트에 12볼트를 나눠주면 10암페어이므로 배선도 10암페어 이상을 흘려줄 수 있는 굵기로 정해주어야 하고 릴레이도 10암페어 이상의 제원을 갖는것을 써야 한다. 

 

위의 글에서 "85, 86번 단자에 걸리는 전압이 12볼트"라고 이야기를 했는데 85, 85번 단자와 30, 87 또는 30, 87, 87a 단자는 서로 회로가 분리되어 있다. 따라서 87, 30, 87a의 메인단자와 85, 86의 입력단자에 걸리는 전압을 다르게 적용할 수 있다. 가령 5볼트 신호로 12볼트 전원을 제어 한다던지 등의 일이 가능하다.

 

이제 다시 5핀렐레이의 작동구조에 대한 설명으로 돌아가보면 5핀 릴레이의 입력 단자는 85, 86번 이고 메인단자가 87a, 87, 30 번인데,

4핀 릴레이의 경우 85, 86번에 전압이 걸리지 않는 경우 87, 30번의 메인단자가 떨어져 있다가 (Normal Open) 전압이 걸릴때 두 단자가 연결되고,

5핀 릴레이의 경우 85, 86번에 전압이 걸리지 않는 경우 87a, 30번의 메인단자가 붙어있고 (Normal Closed), 87, 30번 단자는 떨어져 있다가 (Normal Open), 전압이 걸릴때 87, 30 단자가 연결된다.  

 

단자의 설명을 NO니 NC니 등으로 표기한 릴레이도 있는데 Normal Closed니 Normal Open이니 하는 표현은 입력 단자에 전압이 걸리지 않았을때의 회로의 단락을 설명하는 것으로 NC라고 표현되어 있으면 전압이 걸리지 않았을때 회로가 연결되어 있다는 의미이고 NO라고 표기된 단자는 전압이 걸리지 않았을 때 회로가 끊어져 있다는 의미이다.

 

정리해보면 85, 86, 87a, 87, 30으로 표기와 COM(공통), NO, NC등 으로 표기된 걸 서로 연결 지어 보면 COM은 30번 단자에 대응되고 87a가 NC에 대응되고 87이 NO에 대응되겠다. 

 

https://circuitspedia.com/how-a-relay-works-how-to-connect-no-nc-pins/

 

차량용 12V 릴레이는 87, 87a, 30 등의 숫자로 릴레이 하단에 표기된 경우가 많지만 PCB 회로에 들어가는 소형 릴레이 들은 위 사진과 같이 숫자보다는 회로의 그림이나 COM, NO, NC 등의 표기로 단자를 표기하는 경우가 많다. 위 그림의 왼쪽은 아예 그림만으로 단자를 설명하고 있는데 그림으로 유추해보면 아래 두 단자가 85, 86의 입력단자가 되겠고, 위의 오른쪽이 30 (COM) 단자가 되겠고, 왼쪽 위가 87a (NC), 왼쪽 아래가 87 (NO) 단자가 되겠다. 

 

오른쪽 릴레이는 위에 두개 단자가 있고, 아래 3개 단자가 있는데 아래 3개 단자중 가운데가 30 (COM)이 되겠고, 나머지 두개 단자고 입력단자 85, 86번 단자가 되겠다. 위쪽 두개 단자에는 친절하게 NC, NO로 표기가 되어 있다. 

 

어떤때에는 아예 이런 표기나 회로도가 아예 없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이때는 테스터의 통전모드로 단자를 추측해야 한다. 어지간 해서는 입력단자와 메인단자는 구분이 가능한데, 통전모드에서 입력단자 둘은 서로 연결되고, 마찬가지로 메인단자의 COM과 NC도 연결되어 있다. 다시 입력단자 양쪽에 전압을 걸어주었을때 딸깍거리는 소리가 나고 COM과 이전에는 연결되었던게 이제 다시 연결이 안되면 역시 그 단자는 NC이고 이제 새롭게 통전모드로 COM과의 연결 여부가 확인되는 단자가 NO 단자가 되겠다.  

 

4핀 릴레이를 써야하는데 그건 없고 가진게 5핀 릴레이 밖에 없으면 그냥 5핀 릴레이를 4핀 릴레이처럼 쓰면된다. 87a단자 또는 NC 단자를 없던셈 치면 그만이다.